최근 언론에서는 지난 8월의 청년 실업률이 9.4%로 역대 8월 기준 10.7%였던 외환위기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라고 연일 보도했다. 김용진 기획재정부 2차관은 “정부가 상반기 10%대를 웃돌던 청년실업률을 해결하고자 일자리 추경을 통과시킨 지 두 달이 됐지만, 체감실업률은 전년 동월대비 1%p 상승하는 등 청년들이 느끼는 고용한파는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이렇듯 일자리 수도 문제지만 불안정한 고용시장 속 일자리 질은 더 문제다. 최근에 치러진 2018학년도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PEET) 응시자는 이 시험이 처음 도입된 2011년과 비교했을 때 50% 이상 증가했다. 실제로 순수과학계열에서는 ‘2학년 정도 되면 동기 대부분이 PEET를 준비하려고 휴학해서 과에 사람이 없다’는 말을 쉽게 들을 수가 있다. 이유를 들어보면 약사가 되고 싶거나 약학 관련 일을 하고 싶어서도 아니다. 순수과학 쪽이 워낙 취업하기 힘들어서 안정적인 전문직이 되는 길에 희망을 걸어본다는 쪽이 많다. 취업시장의 추위가 그만큼 매섭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더욱이 고용한파는 지역청년들을 꽁꽁 얼려놓았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방대학 졸업생의 수도권 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보고서에 따르면,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 취업자 비율은 비수도권 대학 졸업생(21.1%)에 비해 수도권 대학 졸업생이 5.6%p 높았다. 비수도권에서 일하는 수도권 대학 출신과 비수도권 대학 졸업생 간의 평균 월급도 45만 원 정도 차이가 났다. 지난해 ‘대구청년유니온’이 대구 청년 8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구 청년들은 1주일에 평균 51시간 30분 근무하고, 한 달에 175만 원씩 급여를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사회에서는 계속 청년들에게 남아있으라 외쳐도 청년들이 자기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는 요인들이 넘쳐난다. 수도권보다 주어지는 기회가 적은 지방에서, 더 많은 시간 동안 더 적은 연봉을 받고 일해야 하는 등 고용시장의 여건은 매우 열악하다. 불안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청년들이 최소한의 ‘워라밸(work-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을 뜻하는 신조어)’이라도 사수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선택이 많지 않다.

현재 대구시에서는 2016년을 청년대구건설 원년으로 선포하며 청년기본조례 제정, 대학생인턴제도 시행 등 다양한 청년일자리 창출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지역 청년들의 체감도는 낮고 지역 순유출 비율은 여전히 높다. 문제 자체가 복잡해 가시적인 효과가 즉시 드러나지도 않을뿐더러, 높은 청년실업률로 드러나는 청년 문제(주거·문화·교육 등)는 단순 일자리 수 창출에만 국한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지역청년의 유출은 도시경쟁력뿐만 아니라 지역대학의 힘도 약화시킨다. 수도권에 인재가 몰리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 국립대를 중심으로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지자체, 대학, 사회가 함께 풀어나가야 할 일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 근본적으로 일자리 질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사회적 인식의 향상이 필요하다. 현 사회구조에서 청년이 얼마나 취약한 존재인가 인식하고 청년들과 연대하고자 해야 한다. 또한 정규직이든 비정규직이든 공정하고 인간적 품위가 존중되는 일자리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것, 이상적인 목표만은 아니다. 이것이야말로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이다.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