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구는 전국 16개 시·도 중 유일하게 야생동물 구조·치료 센터가 없는 곳이다. 민간 동물병원 8곳에서 야생동물의 구조와 치료를 맡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더 심각한 문제는 야생동물이 구조돼, 부상 부위를 치료받더라도 자연방사 시 살아남지 못한다는 점이다. 구조된 야생동물 중 재활시설을 거치지 않고 자연으로 돌아간 경우 80~90% 정도는 죽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구조·치료는 민간 동물병원에서 이뤄지더라도 재활이 이뤄질 수 있는 야생동물 보호 혹은 재활센터의 건립이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구조된 야생동물이 자립 능력을 갖추지 못한 새끼이거나 먹이사냥에 중요한 신체부위를 다친 경우 재활은 필수다. 이외에도 치료 중 받는 환경적 스트레스로 인해 죽기도 한다. 지난 2015년에 구조된 생후 1개월 아기수달은 먹이를 입에 가까이 대주거나 주사기로 떠먹여야만 먹을 정도로 어린 동물이었다. 치료 후에도 아기수달은 좁은 공간에서 지내야 했고, 일주일 뒤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죽고 말았다.

동인동물병원

최동학 대표원장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