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지난달 8일 상주시는 인구 99,986명을 기록하면서 10만 명 선이 무너졌다. 이 일로 지난달 21일 상주시 공무원 전체가 상복 차림으로 출근한 것이 큰 이슈가 됐다. 인구 10만 명 선은 ‘시’와 ‘군’을 나누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인구 감소로 인한 상주시의 위기감이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그런 가운데 상주시는 본교 상주캠퍼스(이하 상주캠)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청년층 감소로 인한 인구문제가 큰 상주시에게 상주캠 활성화는 중요한 해결책 중 하나일 수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교와 상주시의 공조체계를 공고화하려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9월에 발족한 상주시와 본교의 공동협의체에서 실무회의를 해오고 있고, 이달 5일에서 7일까지는 상주시 신흥동에서, 생활관과 원룸에서 생활하는 상주캠 학생들의 전입을 위한 현장 민원실을 운영하기도 했다. (상주시는 전입 학생들에게 전입 후 6개월이 지나면 6개월마다 전입 지원금 20만 원과 학기당 기숙사 생활관비 30만 원을 지원하는 등 4년간 최대 400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위와 같이 본교와 상주시 관계자가 머리를 맞대고 상주캠의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모습은 매년 볼 수 있는 익숙한 풍경이다. 하지만 논의들이 실현된 경우는 많지 않았다. 상주캠 활성화 실패는 오래된 이야기다. 통합 당시의 이행 사항들이 제대로 실천되지 못한 것은 물론이고, ‘생태환경·관광레저 분야의 세계 거점대학’, ‘국내 최고 수준의 축산바이오 학부’ 등 상주캠 특성화와 인프라 확충에 대한 여러 아이디어는 ‘설’만 난무할 뿐 실현되지 못했다. ‘이번에는 과연?’이라는 기대가 ‘그럼 그렇지’라는 체념적인 말로 수없이 바뀌어왔다. 이런 상황 속에서 2008년 본교와 상주대학교 통합 이후 상주캠은 발전은 커녕 퇴보의 길을 걷고 있다. 그 대표적인 증표가 학생 수 감소다. 통합 직후인 2008년 5,148명이었던 재학생이 작년에는 3,132명으로 무려 39%가량 감소했다. 이러한 현실로 상주캠 공동화는 고질적 문제가 되어버렸고, 그로 인한 인프라 축소는 고스란히 상주캠 학생의 피해로 돌아왔다.

이제는 상주캠 구성원이 체감할 수 있는 실천이 필요하다. 상주캠 활성화를 위한 논의나 발전계획 같은 계속된 공수표는 곤란하다. 상주캠의 현실은 학생식당이 문을 닫고, 교양강좌 부족에 시달리고, 방학 기간 인적을 찾기 힘든 텅 빈 풍경이다. 결국 대학 생활다운 대학 생활을 누리지 못하는 상주캠 학생들이 떠날 생각을 하게 되는 악순환의 고리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축산·바이오식품 가공 특성화 대학’과 같은 거창한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상주캠 현장은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다. 늦어지는 시설 수리의 개선, 노후화된 교육 장비 교체 등 상대적으로 작지만, 눈에 보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상주캠 구성원들이 숨통 트인다고 느낄 만한 변화들이 하나하나 쌓여갈 때 진정한 상주캠 활성화가 시작될 것이다. 상주캠 활성화는 단순히 수행해야 할 과제가 아니라 상주캠 구성원들이 직면한 현실이라는 점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지금껏 ‘~할 것’이라는 말은 수없이 들어왔다. 이제는 ‘~했다’라는 말이 간절하다. 상주캠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해 실천할 시점이다. 상주캠에 대한 논의가 다시는 ‘늘 하는 그런 이야기’가 되지 않길 바란다. 

저작권자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