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본교 최정규 교수(경상대 경제통상)의 논문이 국내 경제학자로서는 처음으로 세계적 학술지인 ‘사이언스’지에 실렸다. 이로써 최 교수는 올해부터 본교가 우수 연구논문 저술을 독려하기 위해 ‘사이언스’와 ‘네이처’ 지 게재 논문에 대해 지급하는 학술장려금의 첫 수혜자가 됐다.
「자기집단중심적 이타성과 전쟁의 공동진화(The Coevolution of Parochial Altruism and War)」란 제목의 이번 논문에는 미국 산타페 연구소 소속이자 이탈리아 시에나대학 경제학과에 재직 중인 새뮤얼 보울스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최 교수는 이 논문에서, 행위자에게 비용 또는 손해가 수반되지만 집단에게는 편익을 주는 ‘이타성’이 외부인에 대한 적대적 태도와 결합함으로써 진화될 수 있다는 것을 게임이론에 적용해 논의했다. 특히 자체 개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인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동안 따로 연구돼 온 ‘이타성’과 ‘자기집단 중심주의’가 어떻게 함께 진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 준 점이 주목된다. 이 이론은 현재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하고 있는 민족, 인종, 종교 간 갈등의 뿌리를 규명하는 데도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 교수는 “나의 이번 논문이 분과학문체계를 넘나드는 학제간 연구와 소통의 출발점이 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밝혔다.
「자기집단중심적 이타성과 전쟁의 공동진화(The Coevolution of Parochial Altruism and War)」란 제목의 이번 논문에는 미국 산타페 연구소 소속이자 이탈리아 시에나대학 경제학과에 재직 중인 새뮤얼 보울스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최 교수는 이 논문에서, 행위자에게 비용 또는 손해가 수반되지만 집단에게는 편익을 주는 ‘이타성’이 외부인에 대한 적대적 태도와 결합함으로써 진화될 수 있다는 것을 게임이론에 적용해 논의했다. 특히 자체 개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인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동안 따로 연구돼 온 ‘이타성’과 ‘자기집단 중심주의’가 어떻게 함께 진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 준 점이 주목된다. 이 이론은 현재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하고 있는 민족, 인종, 종교 간 갈등의 뿌리를 규명하는 데도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 교수는 “나의 이번 논문이 분과학문체계를 넘나드는 학제간 연구와 소통의 출발점이 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