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들, 산에 오른 까닭은? - 영남 선비의 유산문화(遊山文化)」 (정병호 교수, 한문) 강연을 듣고 얼마 전에 대학원동을 지나다 우리 대학교에서 주최하는 2018년 릴레이 인문학 ‘인문학으로 읽는 지역과 현실’ 강연을 소개하는 포스터를 보게 됐다. 포스터에는 여러 강좌들의 강사·제목·일시·장소 등이 표로 나열되어 있었는데, 꼼꼼히 살펴볼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일단 사진을 찍어갔다. 시간이 지나 조금 여유가 생겼을 때 사진으로 찍어 두었던 포스터를 다시 꺼내보았다. 12개의 강좌 중 흥미가 생기는 주제 위주로 시간을 확인했다. 그 중 처음으로 듣게 된 강좌가 바로 10월 30일 오후에 있었던 정병호 교수님의 ‘선비들, 산에 오른 까닭은? -영남 선비의 유산문화(遊山文化)’이었다. 이 강좌는 우선 우리가 살고 있는 대구 지역의 산들을 논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앞산 공원, 앞산순환도로, 앞산터널 등 매일 부르고 지나다니는 앞산의 명칭이 ‘대덕산’이라는 것, 지금 반월당 지역이 원래는 아미산이었다는 것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또한 침산, 오봉산, 수도산, 두류산 등 대구의 여러 산들에 대해서도 말씀하셨는데, 듣는 내내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몰랐던 것들이